▣ 실업급여의 수급자격
실업급여는 고용보험 적용사업장에서 퇴직 전 18월(1년 6개월) 중 180일(피보험단위기간) 이상 근무하다 ⓛ경영상 해고, 권고사직, 계약기간만료 등 불가피한 사유 ②비자발적 퇴직 또는 1년 이내 2개월 이상 임금체불, 질병*으로 담당업무를 계속할 수 없는 사유 등 부득이한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근로자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에 지급됩니다.
다만, 이직 또는 자영업 등 정당한 사유 없이 스스로 직장을 그만두었거나 본인의 중대한 귀책사유로 해고된 경우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.
*질병으로 이직한 경우에는 질병으로 인해 부여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나 곤란하게 되어 병가신청 등 이직회피 노력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, 부득이하게 이직하였음이 객관적으로 인정(의사의 소견서 및 사업주 의견 등)되는 경우는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▣실업급여의 신청기간
퇴직 후 언제까지 실업급여 지급을 신청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, 실업급여는 이직일의 다음날로부터 12개월을 초과하면 지급받을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는 경우라도 지급을 받을 수 없으므로 이직 후 이에 유의하여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출석하여 가능한 한 빨리 신청하셔야 합니다.
▣ 실업급여의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
실업급여는 실직자가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(피보험기간) 및 이직 당시의 연령에 따라 120일~270일간 지급됩니다. 지급금액은 이직 전 직장에서 지급받던 평균임금의 60%를 지급받게 됩니다.
[ 연령 및 고용보험가입기간에 따른 구직급여 지급일수(소정급여일수)]
* 2019.10.1. 이후 이직자
피보험기간 | 1 년미만 | 1~3 년미만 | 3~5년미만 | 5~10년미만 | 10년이상 |
연령 | |||||
50세미만 | 120일 | 15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
50세이상 및 장애인 | 12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 270일 |
* 상한액 66,000원(2019.1.1. 이후 퇴사자)
* 하한액 63,104원(2023.1.1. 이후 퇴사자, 1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 기준)
▣실업급여의 신청방법
상용근로자의 경우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퇴직 시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를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팩스(fax) 요청하거나, 고용센터에서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를 요구하여야 합니다.
① 전산망(www.work24.go.kr)을 통하여 로그인> 구직신청관리> 구직신청
②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(신분증 지참)하여 고용센터에서 실시하는 실업급여 신청자 취업지원 설명회 참석
※ www.work24.go.kr에서 실업급여 수급 설명회 온라인 교육 수강 가능
③ 고용센터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 설명회에 따라 수급자격인정신청서 및 재취업활동계획서 작성·제출
※ 워크넷으로 구직등록 후 방문 시 워크넷 활용교육 및 구직표 작성시간을 면제받을 수 있음
④ 취업지원 설명회 종료 후, 개별상담을 거쳐 추후 일정에 대하여 안내받은 후 귀가
⑤ 관할 고용센터는 원칙적으로 접수 후 14일 이내에 수급자격 인정여부를 결정, 통지
'국가지원금 및 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성실신고확인제도 안내(성실신고확인대상자,신청⦁납부기한,세액지원,위반제재등) (1) | 2024.05.06 |
---|---|
2024년 연말정산 제대로 알아보고 환급받자! (0) | 2024.05.04 |
2024년 5월 종합소득세의 신고 ⦁ 납부 (0) | 2024.05.03 |
2024년 청년내일저축계좌(자산형성지원사업) 최소10만원에서 최대30만원까지 정액 매칭! (0) | 2024.05.03 |
국민연금공단 유족연금 (0) | 2024.05.02 |